
Carbon Neutrality Convergence Center
2030NDC
Carbon Neutrality Convergence Center
CNCC
Carbon Neutrality Convergence Center
CNCC는 지방자치단체 단위에서 취약계층이용 공공 건축물 탄소중립 실현을 총괄·지원하는 통합 거점센터입니다.
즉, 단순한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 + 정책 실행 + 사업 연계 + 민관 협력 허브 역할을 수행합니다.
-
사업명: 지속가능한 탄소중립혁신센터(CNCC) 구축 사업
-
목적: 지방자치단체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데이터 기반 통합지원체계 구축
-
비전: 2030 NDC(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실현을 위한 지속가능한 지역 탄소중립 생태계 조성
CNCC (Carbon Neutrality Convergence Center)
BEOP (Building Energy Optimization Plan / Platform) 건물별 에너지 최적화 및 감축 산정실제 감축 활동 수행 및 데이터 수집
PDCA ( P (Plan) , D (Do) , C (Check) , A (Act) ) 2030 NDC 목표 설정 및 계획 수립 ,실행 , 점검 및 평가 , 개선 및 조정.
CNPP (cyber nuclear power plant) 감축 데이터를 가상 전력 생산량으로 전환
핵심 추진 내용
-
CNCC 설립 : 지자체 단위 공공 건축물 탄소중립 총괄 거점 센터 운영 (정책·사업·데이터 통합)
-
지자체 취약계층이용 공공 건축물 건축물 에너지 사용 최적화 ( BEOP : Building Energy Optimization Plan구축 )
-
건축물별 2030NDC 에너지 사용 최적화 지원 BEOP ,PDCA 기반 건축물 온실가스 배출 최적화 시나리오 제공 → 전력·가스·열 등 사용량 효율화 BEOP - PDCA 설계 지원 . (원: 약 20% 이상 절감 , Kwh : 약 30% 이상 절감 , 온실가스 배출 : 약 15% 이상 감축)
-
취약계층 이용 공공 건축물 에너지 성능개선 정책자금 및 사업 수주 지원. (탄소중립 관련 공모·정책자금 연계, 외부사업(KOC:Korea Offset Credit) 지원
-
건축물별 온실가스 배출 모니터링 구축 지원
-
Cyber Nuclear Power Plant (CNPP: 무궁화 1~호기) 구축 지원
is a virtual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produces cyber energy through energy-saving and carbon-reduction activities conducted by the Carbon Neutrality Convergence Center (CNCC).It does not generate electricity by burning fuel or nuclear fission — instead, it produces equivalent virtual power by reducing real-world energy consumption and CO₂ emissions. 즉, “절감은 곧 발전이다 (Saving is Generation)”라는 개념을 실현하는 "전기를 아끼는 것은 곧 전기를 만들어내는 것과 같다. “Energy saving is the new power generation.” 는 CNPP 지속 가능한 탄소중립 혁신 원전 모델입니다.
-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부문별·배출원별 GHG 데이터 수집, 검증, 분석 체계 확립
-
2030 NDC 달성 전략 수립 및 실행 , 건물별 감축 로드맵 수립, 연차별 추진 실적 관리
-
그린리모델링 수주 지원 공공건축물 에너지 절감형 그린리모델링 사업 발굴 및 연계 지원
-
건축물별 에너지 사용 효율 인증 분석
예상 절감 및 경제 효과
-
에너지 절감 예산: 약 39억~50억 원 이상 절감 기대
-
온실가스 감축 효과:
-
연간 수천 톤 CO₂eq 절감 예상
-
공공건축물 중심의 탄소중립 실증 모델 구축 효과
-
지자체 예산 효율화 및 정책사업 수주 확대 효과
2030 NDC 달성 지원 전략
-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 지역별 감축 잠재량 분석 → 연차별 목표 설정
-
지속 가능한 실행체계: BEOP + PDCA + CNPP 통합 운영
-
민관 협력 구조: 정책자금 연계, 외부사업(KOC) 인증 통한 민간참여 유도